1. 금리상승
- 최대교역국인 중국의 인플레이션 영향, 공공요금 인상,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연 3.0%)로 물가가 상승압박을 받고 있고 일부분 현실화 되었음. 따라서 하반기에 기준금리를 올려 물가상승을 억제할 것으로 보임.
[올해 물가 전년 대비 대폭 상승할듯..4.1% 전망-서울경제-2011.05.30]
2. 소비여력의 하락
- 800조가 넘는 가계부채의 이자부담으로 가처분소득이 하락할 전망. 더욱이 기준금리가 하반기 상승할 전망으로 대출이 있는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더욱 감소함. 이는 내수부진과 경기침체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대출로 집 장만한 40대 家長, 소득의 40% 이상 빚 갚는데 써-조선비즈-2011.05.26]
3. 집값하락과 더블딥 가능성
- 집값하락과 이자비용의 증가는 경기침체를 부르고 이는 한국경제를 더블 딥으로 빠뜨릴 수 있음. 이는 개인투자자에게 투자여력에도 영향을 주어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 경기침체는 개인의 대출상환 여력을 심각하게 떨어뜨려 경매나 급처분으로 거래되는 집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됨.
집값 떨어지는데 이자부담은 커지고…
부동산 시장 장기침체변동금리 대출비중 높아주택대출 부실가능성하반기 경제의 최대 리스크로 가계부채 문제가 꼽히는 가운데 부동산시장 상황 또한 중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주택�
biz.heraldcorp.com
[부동산] 계약기간 내 하자발생시 임대차계약 해지 통보방법 (0) | 2011.06.22 |
---|
댓글 영역